한번쯤 마음에 두었던 도시, 자연이 완성해가는 산소 도시
수원시 스마트시티입니다.

광교·호매실스마트시티

  • 사업개요
  • 추진경위
사업개요
사업명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사업목적
광역행정 및 첨단산업 입지를 통한 행정복합도시 및 자족형 신도시 건설
수도권의 택지난 해소를 위한 신주거단지 계획을 통한 국민주거생활의 안정과 복지향상에 기여
도시 중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 형성 및 친환경적 도시환경 조성으로 수원시와 용인시 서북부 지역의 발전 도모
위치
수원시 매탄동, 이의동, 원천동, 하동, 우만동, 연무동 일원
용인시 상현동, 영덕동 일원
면적
11,304,937㎡
수용인구 및 수용세대수
인구 : 77,500인 (68.6인/ha)
세대수 : 31,000세대 (가구당2.5인 적용)
사업기간
2005.12 ~ 2012.12
사업시행자
경기도지사, 수원시장, 용인시장, 경기도시공사사장
추진경위
2012
2012.12.31 사업준공
2012.01.05 실시계획 변경(9차) 승인고시
2011
2011.10.27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국토교통부고시제2011-609호)
  • - 면적 : 11,304,823㎡
  • - 인구 : 77,097인(68인/ha)
  • - 세대수 : 30,839세대(2.5인/가구)
2011.06.14 예정지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11-279호)
  • - 면적 : 11,304,823㎡
  • - 인구 : 77,097인(68.6인/ha)
  • - 세대수 : 30,839세대(2.5인/가구)
2010
2010.07.07 예정지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10-436호)
  • - 면적 : 11,304,937㎡
  • - 인구 : 77,500인(68.6인/ha)
  • - 세대수 : 31,000세대
2010.01.05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09-1287호)
  • - 면적 : 11,301,699㎡
  • - 인구 : 77,500인(68.6인/ha)
  • - 세대수 : 31,000세대
2009
2009.06.02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신청
2009.08.20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09-554호)
  • - 면적 : 11,301,699㎡
  • - 인구 : 77,500인(68.6인/ha)
  • - 세대수 : 31,000세대
2008
2008.03.28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신청
2008.04.18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08-60호)
2008.10.10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변경(3차), 개발계획 변경(3차) 및 실시계획 변경(2차) 승인신청
2008.11.27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변경(3차), 개발계획 변경(3차) 및 실시계획 변경(2차)
승인고시 (국토교통부고시제2008-666호)
  • - 면적 : 11,301,699㎡
  • - 인구 : 77,500인(68.6인/ha)
  • - 세대수 : 31,000세대
2007
2007.03.30 실시계획 승인 신청
  • - 면적 : 11,248,386㎥
  • - 인구 : 77,500인(68.9인/ha)
  • - 세대수 : 31,000세대(가구당 2.5인 적용)
2007.05.16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2007.05.31 중앙교통심의위원회 개최
2007.06.08 에너지사용계획 협의 완료 통보
2007.06.28 실시계획 승인
2007.10.15 공동택지 공급개시
2007.11.05 기공식
2006
2006.03.28 보상계획 공고
2006.05.22 보상계획 착수
2006.06.05 영향평가 초안(교통, 재해, 인구) 수원시 1차 주민설명회
2006.06.07 영향평가 초안(교통, 재해, 인구) 용인시 주민설명회
2006.06.16 영향평가 초안(교통, 재해, 인구) 수원시 2차 주민설명회
2006.09.14 영향평가 초안(교통, 재해, 인구) 수원시 3차 주민설명회
2005
2005.06.24 영향평가 초안(환경) 용인시 주민설명회
2005.07.18 영향평가 초안(환경) 수원시 주민설명회
2005.08.15 환경영향평가 초안 협의 완료
2005.06~09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교육청 등 관계기관 사전협의
2005.12.30 개발계획 승인(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 - 532호)
  • - 사업명 :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 - 면적 : 11,278,267㎡
  • - 사업시행자 : 경기도지사, 수원시장, 용인시장, 경기지방공사 사장
2004
2004.01.06~01.27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을 위한 주민공람 및 관계기관 의견청취
2004.04.23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원안 가결
2004.05.10~05.15 주택정책심의위원회 서면심의
2004.06.30-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건설교통부 고시 제2004-156호)
  • - 지구명 : 경기 첨단 행정신도시 건설을 위한 수원 이의지구
  • -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하동, 원천동, 팔달구 우만동
  • - 장안구 연무동, 용인시 상현동, 기흥읍 영덕리 일원
  • - 면적 : 11,071,036㎡
  • - 사업시행자 : 경기도지사, 수원시장
2003
2003.11.07 2020 수원도시기본계획 (변경)
  •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의결(건설교통부)
  • - 수원 이의지구, 계획인구 6만인, 인구밀도 54인/ha(유원지 포함)
2003.11.17 2020 수원도시기본계획 승인 (건설교통부 도시58410-1997)
2003.12.29 수원이의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제안서 제출
  • 개발목표 및 방향
  • 기능 및 시설설정
  • 공간구조 구성
개발목표 및 방향
사업명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개발목표
국제적 수준의 첨단기술 혁신기반 구축
최적의 연구환경을 갖춘 핵심기술 R & D 클러스터 조성
산ㆍ학ㆍ연 연계를 위한 도시기반 확보
혁신기술의 역동적 확산을 위한 정보ㆍ교류 인프라 구축
경기 남부의 도시형 관광ㆍ레저 거점 조성
레저ㆍ문화 융합형 도시공간 조성으로 미래형 여가공간 제공
교육환경과 주거환경이 조화를 이룬 미래형 주거생활권 모델 제시
새로운 설계기법으로 미래형 도시문화 창출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직주근접의 고품격 정주공간 조성
수요자 중심의 수준 높은 교육환경 제공
2천만 광역도시권 중심도시로서의 기능 강화
종합 행정지원이 가능한 행정타운, 법조타운 조성
국제적인 산업비지니스 도입을 위한 업무핵 구축
기업의 창업ㆍ홍보ㆍ투자를 위한 지원시설 확보
유비쿼터스 시스템 완비로 최고의 도시정보 기반 제공
개발방향
기능연계&용도복합을 통한 도시 통합
대중교통 거점으로의 개발
연관기능의 보행권내 배치
복합용도개발(Mixed Use Development)의 적극적 도입
장벽없는 개방형의 열린 도시공간 창출
고층저밀 개발을 통한 도심 오픈스페이스 확보
열린학교ㆍ커뮤니티회랑 개념 도입
광교만의 도시 특징을 대표하는 장소성 부여
자연환경을 도시개발의 테마로 활용
전체 도시특징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및 스카이라인 형성
주요 도시 기능의 특화이미지 강조
사람과 자연이 공생하는 녹색도시 실현
그린플랜과 병행된 도시개발 실현
조성 녹지의 활용성 제고
테마형 주거단지 조성으로 다양한 정주환경 제공
수요자 특성을 고려한 주택유형 도입
차별화된 주거단지 조성
주거단지를 교육 및 학습공간의 장으로 조성
기능 및 시설설정
사업명
광교신도시 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핵심 선도 기능으로 광역업무, 광역상업, 첨단산업 및 연구, 레저위락기능 등
여타기능을 연계ㆍ지원하는 역할 수행
도시이미지 측면에서 수도권 남부 중심도시로서의 광역적 위상을 대표함
도입시설 검토
구분도입시설개발방향
신도청사
  • - 경기도청, 도의회, 유관기관
  • - 경기도청, 도의회, 유관기관
  • - 첨단 정보센터
  • - 시민광장, 복합환승센터
  • - 약 118,319 ㎡
  • - 도심부의 개방형 통합청사로 시설 집약
  • - 첨단ㆍ환경 건축물 건설
  • - 역세권 복합개발 추진
법원ㆍ경찰청 - 지방법원, 검찰청
  • - 약 65,858㎡
  • - 행정타운과 분리하여 독립적 단지 조성
광역업무기능
기업 본ㆍ지사급의 업무시설, 국제 전시시설 등으로 서울의 광역업무기능을 분담하고, 경기도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역할 수행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광교의 국제적 도시이미지 구축
도입시설 검토
구분도입시설개발방향
중소기업종합센터
  • - 창업보육시설, 국제회의장, 실험실 등
  • - 중소기업 전시ㆍ판매시설
  • - 나노소자 특화펩센터
  • - 주상복합
- 사업지구에서 제척된 기입지 시설
R&D 연구시설
  • - 경기바이오센터
  • - 바이오 장기 생산연구시설
  • - 경기도 사업 착수
  • - 중기센터와 함께 첨단기술 개발 선도
벤처업무단지
  • - 경기바이오센터
  • - 바이오 장기 생산연구시설
- 민간기업의 연구ㆍ개발ㆍ시제품 생산
연구시설
  • - 첨단산업 관련 연구시설
  • - 첨단산업 관련 교육ㆍ문화시설
- 산ㆍ학ㆍ연 클러스터 구축
정주기능
광역기능의 고급인력 유치를 위해 고품격 정주환경 조성
공교육 중심의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주거단지 모델
자연환경과 조화된 웰빙 카운티 개발로 웰빙도시 이미지 강화
도입시설 검토
에듀타운
  • -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 - 공동주택 및 부대 복리시설
  • - 근린생활시설
  • -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시범단지 조성
  • - 교육시설과 주거단지 통합개발
커뮤니티회랑
  • - 열린학교, 보육시설, 공원, 광장
  • - 공공청사, 근린생활시설
  • - 생활가로(보차공존도로)
  • - 교육관련 커뮤니티 시설의 집적화 및 복합화
  • - 주요가로를 생활가로 및 테마가로로 특화
  • - 교육시설과 주거단지 통합 개발
  • - 생애주기별 교육수요에 대응한 학습공간 조성
웰빙카운터
  • - 테라스형, 별장형, 타운하우스 등
  • - 커뮤니티시설, 친수 생태공원
  • - 원형지 공급으로 자연지형과 조화 유도
  • - 소하천을 적극 활용한 친수단지 조성
주상복합
  • - 공동주택
  • - 근린생활시설
- 도심부, 역세권 주변에 개발
업무복합
  • - 공동주택, 업무시설
  • - 근린생활시설
- 수변부, 역세권 주변에 개발
공간구조 구성
기본방향
광역간선도로에 의한 도시단절 극복
도시기능간 시너지 효과 및 연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공간구조 구상
대중교통과 녹색교통 중심의 친환경 도시체계 구축
도심지역과 유원지의 유기적 통합
공간구조 구상
광역간선도로에 의한 도시단절 극복
도시기능간 시너지 효과 및 연계를 최적화할 수 있는 공간구조 구상
대중교통과 녹색교통 중심의 친환경 도시체계 구축
도심지역과 유원지의 유기적 통합
광교 공간구조 구상
  • 기본계획
  • 인구 및 주택
  • 교통
  • 공원ㆍ녹지
기본계획
기본방향
부족한 가용토지의 효율적 활용 도모
입체적 토지활용 및 복합용도개발의 적극 도입
자연환경의 보전ㆍ복원 및 도시개발 테마로의 활용
자연지형을 활용한 친환경적 계획 수립
주ㆍ상ㆍ산업ㆍ행정 등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자족도시 계획
도시경관과 단지의 Identity를 살린 주제가 있는 단지계획
주택용지
환경친화적이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낮은 주택용지율(19.0%) 계획
단독주택의 공급 축소로 단독 : 공동 = 10.0% : 90.0% 배분
영동고속도로 북서측지구 및 지구내 양호한 산림지역은 자연환경을 활용한 환경친화적 주택단지 조성의 유도와 다양한 주거환경
창출을 위한 경사지를 활용한 연립주택 배치
공동주택은 중앙부에 상업ㆍ업무지구와의 연계를 감안한 아파트 용지를 주로 배분하고 기존의 용인지역에는 신분당연장선 역사와 연계하여 공동주택지 배분
유원지 북동측 상현동에 저밀도의 단독주택지 배치
상업ㆍ업무시설
광교의 도심은 주변지역과의 연관성, 지역 중심성, 행정타운의 상징성 등을 고려하여 지역중심의 상권으로 조성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배분되는 동쪽지역에 있는 신분당연장선 역사의 최적위치를 감안하여 배치, 지역중 심기능 담당
유원지와 연계한 상업용지를 유원지 입구에 배치하여 수원시 동측지역의 관문역할 수행
주상복합단지 및 업무복합단지는 도심에 중심상업지역, 역사와 연계하여 배치함으로써 중심상업과 주거와의 기능 상충을 최소화하고, 도시의 중심성을 강화하여 활력 있는 도심을 창출토록 계획
도시지원시설용지(광교테크노밸리)
도시지원시설용지는 단지내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나노펩소자특화센터 등과 연계가 용이한 동수원IC와 밀레니엄로변에 집중
배치를 통해, 광교테크노밸리를 조성하여 집적에 의한 시너지효과 창출을 도모
상업ㆍ업무시설, 주거 등과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계획
입지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일부 토지를 유보지로 계획하여 추후 여건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토록 계획
공원ㆍ녹지 용지
광역녹지축상의 녹지대를 공원으로 계획하며 하천을 따라 부녹지축 계획
지구내 지방하천 및 소하천을 활용한 수변녹지공간 조성하여 하천경관 향상 및 지역주민 휴식공간 제공
하천이 합류되는 원천저수지 상부 주변 녹지대를 포함하는 근린공원을 계획
각 생활권별로 근린공원 및 어린이공원을 적정 배치하며 보행자전용도로와의 연계도모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 도로변에 완충녹지대를 설치하여 소음 및 대기오염을 최소화
공공시설 용지
가급적 주로 공원, 녹지나 보행자도로변에 보행동선 등을 고려하여 배치
문화ㆍ행정ㆍ복지 등의 시설은 이용권을 고려하여 근린공원 및 지구 중심주변에 배치
토지이용계획도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조감도
광교지구 택지개발 조감도
토지이용계획도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
합계 11,304,937 100.0
주택건설용지 2,096,825 18.5
단독주택 260,360 2.3
공동주택 1,735,709 15.3
연립 245,463 2.2
아파트 1,490,246 13.1
근린생활시설 100,756 0.9
도시지원시설용지 387,119 3.4
도시지원시설 387,119 3.4
상업,업무시설용지 532,087 4.7
업무시설 48,741 0.4
업무복합 118,501 1.0
주상복합 233,253 2.1
상업시설 131,592 1.2
공공시설용지 8,288,906 73.4
공공청사 268,386 2.4 행정타운, 법조타운
학교 413,137 3.6 유3, 초7, 중5, 고3, 특수학교1, 대학교1,교육시설2
종교용지 35,878 0.3 16개소
컨벤션관련시설 99,175 0.9
문화복지시설 10,028 0.1 5개소(7호,12호 근린공원내 2개소 포함)
의료시설 21,389 0.2 1개소
휴게소용지 7,298 0.1 1개소
통신시설 495 0.1 1개소
자동차관련시설 49,177 0.4 6개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34,950 0.3 가스충전소 3개소, 주유소 15개소
시장 15,293 0.1 1개소
주차장 65,534 0.6 43개소
공원녹지 4,735,312 41.9
근린공원 1,715,785 15.2 12개소(문화복지시설 2개소, 이의배수지, 실개천 함양지/
유수지 및 생태통로 포함)
역사공원 139,619 1.2 2개소(지역역사박물관, 홍보관, 혜령군묘이전 복원부지/
길마재 줄다리기터, 함양지 포함)
어린이공원 24,095 0.2 12개소
완충녹지 414,544 3.7 38개소
경관녹지 246,657 2.2 25개소
공공공지 128,415 1.1 35개소
하천 271,361 2.5 지방하천 6개소, 소하천 7개소
유원지 1,794,836 15.9 지역커뮤니티센터 1개소(시민문화회관, 도서관)
저류지 30,048 0.3 2개소
수도용지 76,358 0.7 배수지 5개소(근린공원내 1개소 포함),가압장 2개소,
수도시설 6개소
하수종말처리장 21,814 0.2 1개소
전기공급설비 18,856 0.2 변전소 3개소, 케이블헤드 1개소
가스공급설비 9,911 0.1 1개소
집단에너지공급시설 32,845 0.3 2개소
교통광장 284,025 2.5 5개소
철도용지 163,087 1.4 차량기지 및 경기대학교역(가칭)
도로 1,625,878 14.3
보행자도로 15,668 0.1
유보지 281,395 2.3 11개소
인구 및 주택
기본방향
향후 10년간 수도권의 주택수요는 약 210만호로, 이중 일부분을 광교지구에서 담당함에 따라 공공시행의 택지개발사업지구로서 다양한 소득계층과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유형 및 규모 설정
기존의 수도권 5개 신도시보다 낮은 밀도의 자연친화적 중ㆍ저밀도 단지로 개발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건교부, 07.01.)에 제시된 기준에 부합되도록 계획
판교, 분당신도시, 인근 지역 등 주변지역의 주택가격 수준을 고려한 적정 개발밀도의 설정
자연친화적인 주거단지는 개발밀도가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계층별로 구입가능한 주택을 공급 하기 위한 분양가는 개발 밀도가 높을수록 유리하므로 적정수준의 개발밀도 설정
주택유형별 공급계획
구분 합계 단독 공동주택
연립 아파트 주상복합 업무복합
공급세대(세대) 31,000 860 1,421 23,051 4,557 1,111
비율(%) 100.0 2.8 4.6 74.3 14.7 3.6
유형별 주택건설용지 비율
구분 합계 단독 공동주택
연립 아파트 주상복합 업무복합
면적(㎡) 2,347,823 260,360 245,463 1,490,246 233,253 118,501
비율(%) 100.0 11.1 10.4 63.5 10.0 5.0
인구 및 주택건설계획
구분 부지면적(㎡) 세대수(호) 인구(인) 평균규모(㎡) 구성비(%)
합계 2,347,823 31,000 77,500 - 100.0
단독주택 260,360 860 2,150 - 11.2
블럭형단독 58,878 95 237 459.87 2.5
일반형 단독 201,482 765 1,913 264.5 8.7
공동주택 1,735,709 24,472 61,180 - 75.2
연립 245,463 1,421 3,553 - 12.2
60~85㎡이하 - - - 109.1
85㎡초과 245,463 1,421 3,553 148.8
아파트 1,490,246 23,051 57,627 - 63.0
60㎡이하 274,611 6,079 15,197 66.1
79.3
60~85㎡이하 691,296 10,362 25,905 109.1
85㎡초과 524,339 6,610 16,525 148.8
주상복합 233,253 4,557 11,392 - 8.5
60~85㎡이하 23,675 551 1,378 109.1
85㎡초과 209,578 4,006 10,014 165.3
업무복합 118,5011 1,111 2,778 - 5.1
60~85㎡이하 - - - 109.1
85㎡초과 118,501 1,111 2,778 165.3
교통
광역교통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광역교통 개선대책으로 도로 6개 구간(19.2km)을 신설, 2014년까지 신분당선 연장선 중 정자~광교구간 개통, 환승시설 설치 1개소, 교차로 개선 4개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1개 구간 구축
신분당선연장선
기존의 수도권 5개 신도시보다 낮은 밀도의 자연친화적 중ㆍ저밀도 단지로 개발
분당선 정자역에서 화서 및 호매실까지 연결되는 신분당선 연장선의 정자~광교 구간은 2014년 개통
동 노선상의 경기도청역(가칭)에는 환승센터 설치하고 철도와 도로교통을 연계함으로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지점 구간 연장(㎞) 차로 시행자 완공년도
정자 ~ 광교 11.9 - 국토교통부 2014
광역도로망
영동고속도로(북수원IC~신갈IC)의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우회도로를 신설하여 교통량 분산
동수원 및 수원종합터미널과의 연계를 위해 2개 노선의 도로 신설
용인~서울간 고속국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수원~성복IC간 도로 신설
주변 도로와의 연계가 도모될 수 있도록 도로개설사업 추진
지점 구간 연장(㎞) 차로 시행자 완공년도
1 북수원 ~ 상현 IC 간 도로 7.9 4 수원시 2013
2 상현 IC ~ 하동간 도로 2.5 6 광교 시행자 2011
3 흥덕 ~ 하동간 도로 2.1 6 광교 시행자 2011
4 동수원 ~ 성복 IC 간 도로 3.3 4 광교 시행자 2011
5 용인 ~ 서울간 고속화도로(사업비 분담) 2.3 6 국토교통부 2009
6 하동 ~ 삼막곡간 도로(사업비분담) 1.1 6 광교 시행자 2011
입체화 접속시설
주변 교차로의 정체해소를 위해 동수원IC 및 창룡문사거리 등 4개소의 교차로를 입체화
지점 구간 연장(㎞) 차로 시행자 완공년도
1 상현 IC 교차로 1식 1식 광교 시행자 2011
2 하동교차로 1식 1식 광교 시행자 2011
3 창룡문 사거리 1식 1식 광교 시행자 2010
4 동수원 IC 개량 1식 1식 광교 시행자 2011
기타부문
지점 구간 연장(㎞) 차로 시행자 완공년도
1 환승시설(경기도청역) 1식 - 광교 시행자 2011
2 BRT 3.4 - 광교 시행자 2011
3 ITS(용역비) 1식 - 광교 시행자 2010
광역교통도
광역교통도
공원ㆍ녹지
광역교통
영동고속도로 및 용인~서울간고속도로, 국도43호선, 국도42호선, 북수원~상현IC간 도로, 상현IC~하동간 도로, 홍덕~하동간 도로 및 동수원~성복IC간 도로변에 접하는 계획대상지에는 폭 10~30m내외의 완충녹지대를 설치하도록 계획
각각의 공원, 녹지 등을 보행자도로나 완충녹지, 공공공지를 연결시켜 체계화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접근성 및 활용도를 제고토록 계획
기존 녹지축과 함께 새로이 조성되는 공원ㆍ녹지는 기존 자연공원과의 연계 및 조화를 원칙으로 하며, 경관목적 이외에 다목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각종 시설들을 체계적으로 배치
단지 북동측, 중앙, 남측의 광역녹지축을 보존토록 하고, 기존 개설도로에 의한 훼손녹지축의 복원 및 신규 도로개설에 따른 녹지축 훼손을 최소화 하는 생태통로(에코브리지) 설치
그린플랜에 의한 광역녹지축, 생태녹지축, 바람통로, 열섬차단벨트축 반영
저수지, 하천 등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친수공간 계획
공원ㆍ녹지 계획도
공원ㆍ녹지 계획도
  • 개발목표 및 방향
  • 기능 및 시설설정
  • 공간구조 구성
공공편익시설
생활편익을 위한 공공 및 편익시설의 확충
교육, 문화 등 일상생활 활동에 필요한 시설로서 주민의 편익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설 확충
복합적인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의 경우는 상호 연관지어 계획하되, 시설이용의 편리성ㆍ효율성ㆍ다양성 제고
상호 보완적인 기능의 시설은 집적하여 배치함으로써 주민의 이용편익 제고
주택유형별 공급계획
주택유형별 공급계획
공급처리시설
상수도
기본방향
사업지구 급수구역은 수원시 급수구역과 용인시 급수구역으로 구분
수원시 수도정비기본계획 및 용인시 수도정비기본계획 의거 계획수립
사업지구의 상수도 공급시설은 수도권 광역상수도 시설과 연계하여 계획함으로써 안전하고 풍부한 용수를 공급하므로서 용수공급 서비스 수준 향상을 도모하며 관망은 안정적인 급수를 위한 망목식 Block System 채택하여 공급량 및 소비량, 누수량 등의 측정 분석이 가능한 관리체계 도입
용도별 사용수량 및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추가 용량 산정으로 원활한 용수공급계획 수립 및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급수가 가능토록 계획함
수원시 급수구역 수원시 급수구역 용인시 급수구역 용인시 급수구역
우수
기본방향
주변의 수려한 자연환경 보전과 쾌적한 삶의 질 향상 및 사업지구내외 자연형 친수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한 분류식 하수처리계획 수립
배수구역의 특성 및 기존 배수체계 조사ㆍ분석을 통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관망계획으로 관로의 원활한 흐름유지 및 적정 통수 능력의 확보
주변지역 장래 개발 가능성 및 주변 지역의 침수방지를 위한 견고하고 안전한 우수처리 기반시설 구축
도시화에 따른 강우 유출증가 억제 및 지하수 함양증진을 위한 우수저류시설의 설치계획수립으로 수자원 절약 및 자연재해 방지
우수 처리계획
강우시 지구내ㆍ외 강우 유출량은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계획가로망 우수관로를 통하여 사업지구내 지방2급하천(원천리천, 여천, 가산천) 및 7개소의 소하천(산의천, 아래쇠죽골천, 동녘쇠죽골천, 쇠죽골천, 성죽천, 절골천, 산의실천)으로 방류 예정
오수
기본방향
상위계획인『수원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2001.7)』및『용인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2006.8)』을 준수하여 합리적인 오수처리계획의 수립
기존 하수처리구역의 처리계통 조사ㆍ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관망계획으로 사업지구 발생오수 및 지구외 유입오수의 적정처리
오수처리시설은 수원시 구역은 수원 하수종말처리장을 이용하고, 용인시 구역은 현재 용인시 민자사업으로 건설중인 상현 하수 종말처리장을 이용하여 처리
사업지구내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수의 재이용(중수도, 하천유지용수, 조경용수, 살수용수)방안 검토로 수자원 절약 및 쾌적한 주거 환경의 제공 도모
오수처리계획
상위계획 및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부지조성계획에 따라 2개 처리구역으로 구분되며, 발생 오수량 전량을 차집하여 각 처리구역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
수원시 수도정비기본계획 및 용인시 수도정비기본계획 의거 계획수립
수원시 처리구역 계통도 수원시 처리구역 계통도 용인시 처리구역 계통도 용인시 처리구역 계통도
에너지
전력 공급 계획
본 사업지구의 변압기 설비용량은 337,845kVA로 예측되었으며, 최대전력수요는 304,061KW로 예측됨
도시가스 공급계획
삼천리도시가스㈜에서 공급 예정
도시가스수요량은 총108,676천N㎥/년이고, 난방용이 99,626천N㎥/년, 취사용이 9,050천N㎥/년으로 예측됨
집단에너지 공급계획
집단에너지 공급기본계획 (산업자원부 공고 제2002-240호. 2002. 12)에 의거 본 지구는 집단에너지 공급 타당성이 있어, 집단에너지공급 대상지역으로 지정되었음 (산업자원부 공고 제2006-94호)
광교 집단에너지시설 열 공급 방식은 광교지구가 청정연료인 천연가스(LNG)사용 고시지역이며, 여러 신도시에 적용되어 안정적으로 운전 중이며, 기동성이 우수한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을 조합하는 복합방식을 열원방식으로 선정
광교지구 열병합 발전설비는 인접 지역난방공사 지사와 비상공급을 고려한 공급안전성, 통합운영을 통한 열병합발전기의 효율ㆍ이용율, 경제성 및 사업기대효과, 설치ㆍ운전ㆍ유지보수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최적의 용량 및 식선정
집단에너지 기본 개념도(에너지관리공단)
집단에너지 기본 개념도
집단에너지 시설용량
구분 시설용량 비고
열병합발전시설 141MW + 143Gcal/h
- GT : 105MW X 1기
- ST : 36MW X 1기
가스복합발전방식(배압식)
- 발전량 : 32℃ 기준
- 열생산량 : -12℃ 기준
첨두부하보일러 103Gcal/h X 2기 중온수보일러
축열조 25,000㎡ X 1기 82Gcal/h
349Gcal/h 설비공급률 108%
에너지 공급시설 현황도(계획)
에너지 공급시설 현황도(계획)
  • 사업개요
  • 추진경위
사업개요
계획의 목적
정부의 국민임대주택100만호 건설을 위한 택지의 효율적 개발 공급으로 수도권의 주택난 해소 및 서민주거생활의 안정과 향상에 기여합니다.
권선행정타운 건설 등 사업대상지 및 주변지역의 공간적 위상변화를 고려하여 수원 서부생활권의 중심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공공ㆍ상업ㆍ자족시설을 확충합니다.
사업지구의 양호한 수변공간 및 녹지공간을 보전하고 시민의 접근성을 고려한 공원ㆍ녹지의 배치 등 환경친화적 개발계획을 수립합니다.
계획의 범위
시간적 범위
  • - 기준년도: 2005년
  • - 목표연도: 2012년
  • - 개발기간: 2005년 12월 29일 ~ 2012년 12월 31일
공간적 범위
  • - 위치: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금곡동, 당수동, 오목천동 일원
  • - 면적: 3,116,341㎡
수용인구 및 주택건설계획
  • 수용인구 : 55,796인 (180인/ha) 이하
  • - 주택건설계획 : 19,240호 (2.9인/가구, 수원시 도시기본계획 2010년 지표)
추진경위
2008
2008.09 공사착공
2008.01.03 택지개발계획변경 및 실시계획변경 승인 (건교부고시 제2007-692호)
2006
2006.12.20 택지개발예정지구·개발계획변경, 실시계획승인 (건교부고시 제2006-549호)
2008.01.03 택지개발계획변경 및 실시계획변경 승인 (건교부고시 제2007-692호)
2005
2005. 12. 29 개발계획 승인 (건교부고시 제2005-539호)
2005. 12. 26 수원시 도시관리계획변경 결정(개발제한구역해제) (건교부고시 제2005-451호)
2005. 12. 08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개발제한구역 해제)
2004
2004. 12. 31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건교부고시 제2004-465호)
2004. 12. 22 주택정책심의위원회 심의
2004. 12. 21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2004. 06. 18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제안
위치도
위치도
  • 개발목표 및 전략
  • 기본구상
  • 생활권계획
개발목표 및 전략
기본방향
개발목표
권선구 행정타운과 연계한 서수원권 중심도시
권선행정타운 건설에 따른 지원기능 강화‘차없는 거리’,‘문화의 거리’,‘보차공존도로’등을 조성하여 생활권 중심지원시설 및 지식기반ㆍ도시지원시설을 확보하였습니다.
지역 중심상권 조성을 위한 상업ㆍ업무용지 계획
자족기능 제고를 위한 소프트웨어사업용시설과 벤처기업집적시설 등 도시지원시설 계획
생태체험학습장 등 신도시 여가ㆍ문화체험공간 조성
Ubiquitous 환경의 미래형 디지털 도시
첨단정보기술의 초고속 광통신 인프라 구축으로 정보화에 따른 도시생활의 편익증대와 체계적인 도시관리도모 및 주민의 안전과 복지향상을 도모하였습니다.
자연(山, 水)속에 숨쉬는 친수생태 전원도시
광역녹지축과 연계되는 수변녹지 Network 구축으로 주민의 건강한 삶과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녹지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과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으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Social Mix를 통한 공동체 도시
호매실지구의 인문사회적 특성을 반영하여 토지이용 및 시설계획 수립
다양한 세대간의 화합과 교류를 위한 이음문화 창출(국민임대주택건설 및 일반분양주택과 혼합 배치)
생활권별 주민들의 활발한 교류를 지원하는 외부공간 계획
기본구상
기본방향
과천_봉담간 고속화도로에 의한 공간적 단절 극복
계층간의 사회적 화합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체계 구축
지역 중심상권 조성을 위한 상업ㆍ업무용지 계획
자족기능 제고를 위한 소프트웨어사업용시설과 벤쳐기업집적시설 등 도시지원시설 계획
생태체험학습장 등 신도시 여가ㆍ문화체험공간 조성
공간구조 구상
생활권의 유기적인 연계
서수원생활권의 중심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권선행정타운과 연계한 지원기능의 형성 및 접근체계 구상
수원 기성시가지와 광역접근성을 고려하여 서부우회도로, 국도42호선에 연결되는 동서측 3개 노선과 국도43호선에 접속가능한 남북측 1개 노선 계획
사업지구내 생활권은 수변공원 등 녹지네트워크와 간선도로를 통하여 연계도모
사회적 혼합을 유도하는 토지이용 배치
광역도로 및 간선도로에 의하여 분절되는 공간구조를 극복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녹지축과 보행활동축을 중첩하여 커뮤니티 가로 조성
커뮤니티 가로와 연접하여 공공시설, 주민편익시설, 교육시설 등을 집적배치하여 주민 일상생활 활동이 집중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을 통한 계층간 사회적 혼합 유도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혼합하여 계층간, 세대간 융화 유도
자연(山, 水)속에 숨쉬는 친수생태 전원도시
광역녹지축과 연계되는 수변녹지 Network 구축으로 주민의 건강한 삶과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녹지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과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으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사회적 혼합을 유도하는 토지이용 배치
광역도로 및 간선도로에 의하여 분절되는 공간구조를 극복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녹지축과 보행활동축을 중첩하여 커뮤니티 가로 조성
커뮤니티 가로와 연접하여 공공시설, 주민편익시설, 교육시설 등을 집적배치하여 주민 일상생활 활동이 집중될 수 있는 공간의 조성을 통한 계층간 사회적 혼합 유도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혼합하여 계층간, 세대간 융화 유도
녹색교통 중심의 동선체계 구축
사업지구 주변의 광역가로망과 연계한 가로망체계 구축
지구외 지역간 간선도로를 고려한 남북 3축, 동서 5축의 내ㆍ외부 간선가로망체계 구축
분당 정자역~화서역~사업지구로 연장예정인 신분당연장선을 주요 대중교통수단으로 활용하고 역세권을 중심으로 환승교통체계 구축
사업지구를 동서로 관통하는 금곡천ㆍ호매실천변과 남북을 관통하는 근린공원을 통하여 보행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며, 간선도로변 완충녹지에 자전거전용도로 계획으로 녹색교통체계 구축
보행과 자전거 등 녹색교통 위주의 지구내 동선계획을 수립하여 친환경적 정주환경 및 여가공간 구상
녹지와 도시기능간의 유기적인 연계
칠보산, 황구지천 등 주변지역의 양호한 자연환경과 연계하는 녹지축 구축 - 산악녹지축(3개축)과 수경축(2개축)
교육시설은 통학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주요 보행축(녹지축)과 면하여 집중배치
소하천과 저류지를 활용한 공원을 조성하고 공원별로 테마를 설정하여 공간의 방향성 및 식별성 부여
생활권계획
기본방향
수원시 서수원 대생활권 생활문화 중심지로서의 신도시와 주변 기존 시가지를 통합할 수 있는 생활권 형성
거주민의 생활양식, 편익시설의 이용형태에 의한 이용거리, 이용가구수 및 소득수준, 행정구역의 범위 등에 따라 위계별로 구성
단위 생활권이 하나의 보행권이 되도록 설정
생활권배분
수원 호매실지구는 수원시 서수원 대생활권 구운중생활권에 속하며 남측 일부 용지가 평동중생활권에 걸침
생활권 위계별 구분기준을 적용하여 구운 중생활권내 2개 소생활권, 6개 근린생활권으로 구분
소생활권은 대2-9호선과 행정동을 경계로 금곡소생활권, 호매실소생활권으로 구분
근린생활권은 소생활권내 초등학교 통학권 단위로 구분
  • 기본계획
  • 인구 및 주택
  • 교통
  • 공원ㆍ녹지
기본계획
개발목표
서수원권 중심지로서의 기능수행을 위한 계획 수립하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국민임대주택단지사업시행을 위한 국책사업으로서 저밀도 개발로 인한 사업지구 수용능력의 한계를 감안하여 개발과 자연환경보전과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습니다.
각종 규제와 지형여건 등 제약요건으로 인한 부족한 가용토지의 효율적 활용으로 효율성을 제고하여 자연환경의 보전과 활용으로 환경친화적 계획 수립하였습니다.
상위 및 관련계획을 고려하여 계획의 지속성을 유지하였습니다.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혼합을 고려하여 계획하였으며, 통경축과 바람길 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계획방향
계획방향
주택용지는 사업지구의 특수성과 환경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중고밀도(180인/ha)로 계획하였습니다.
국민임대주택단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적절한 배치로 사회적 혼합을 도모하였습니다.
공동주택용지
공동주택용지는 주택건설용지의 94.1% 계획하여 사회적 혼합을 위해 국민임대주택, 임대주택, 일반분양 공동주택용지를 혼합 배치하였습니다.
임대주택용지는 국민임대주택단지 개발계획수립지침 제6조의 규정에 의한 단지배치계획기준에따라 배분하였습니다.
단독주택용지
단독주택은 대부분이 지구내 이주민을 위한 이주자택지로서 상업용지 주변으로 배치하고 협의양도인 택지와 일반분양을 위한 토지는 공원 등 녹지공간과 연접하여 배치하였습니다.
업무 및 상업시설용지
수원 호매실지구는 서수원 대생활권의 중심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상위 및 관련계획상의 주요시설계획, 주변지역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지역간 간선교통망과 도시내 교통망의 결절점, 권선구 행정타운 등의 주요 도시시설의 주변에 계획하였습니다.
공공시설용지
도시지원시설용지
신도시의 자족기능 제고를 위해 도시지원시설용지 계획하여 사업지구 북측으로 업무 및 상업시설용지와 연계하여 배치하였습니다.
도시지원시설용지에는 도시형공장, 벤처기업집적시설, 소프트웨어사업용시설이 입주할 수 있으며 향후 입주수요에 따라 대처가능토록 계획하였습니다.
공공시설용지
공원녹지
사업지구 서측으로 통과하고 있는 광역녹지축상의 칠보산과 연결되는 양호한 산림을 공원으로 계획
사업지구내 소하천인 금곡천과 호매실천을 보전하고 주변으로 생태공원을 조성하여 사업지구 동측의 황구지천 공원화 계획과 연계될 수 있도록 계획
사업지구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변으로 충분한 폭원을 완충공간으로 확보하여 소음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저감과 동서간 보행연결을 통한 생활권 통합을 위해 근린공원으로 계획
근린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체육공원으로 주제공원을 분류하여 주제별 다양한 여가휴식 제공
어린이공원은 보행자전용도로와 연계하여 생활권별로 적정배치하여 주요 간선도로변으로 완충녹지 계획, 지구경계부의 임야부에 경관녹지를 계획하였습니다.
보행자의 통행 및 휴식공간 확보 등 활력있는 가로 조성을 위해 커뮤니티 가로변에 공공 공지로 계획하였습니다.
학교
학교시설은 정온을 요하는 시설로서 공원계획과 연계하여 통경축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기존 학교(칠보중학교, 금호초등학교)는 존치토록 하고 계획중인 학교(수오고등학교)는 지구내 적정 배치하였습니다.
사업지구와 접하고 있는 호매실초등학교 부지의 정형화를 위해 지구내 부지일부를 호매실초등학교 부지로 계획하였습니다.
학교시설은 통학시 보행안전을 고려, 공원변으로 배치하여 보행자전용 도로, 공원 및 녹지축과 연계토록 계획하였습니다.
공공청사
공공청사는 생활권과 주변 지역의 공공청사 배치현황 및 계획을 고려하여 소생활권별로 적정 배치하여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간선가로변에 계획하되 보행자전용도로 및 공원들과 연계하여 보행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토지이용계획현황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
합계 3,116,341 100  
주택
건설
용지
소계 1,111,091 35.7  
단독주택 65,137 2.1  
공동주택 1,033,050 33.2  
근린생활시설용지 12,904 0.4  
준주거용지 17,030 0.5  
공공
시설
용지
소계 1,988,220 63.8  
업무 및 상업시설 123,450 4  
도시지원시설 15,216 0.5  
도로 559,765
(562,167)
18.0 ()는 하천과 중복결정면적
(2,402㎡포함)
주차장 22,104 0.7  
자동차정류장 8,953 0.3 버스공영차고지
광장 6,545 0.2 일반광장 , 교통광장
공원 625,816 20 저류시설 포함
녹지 120,206 3.9  
공공공지 26,040 0.8  
시험림 107,019 3.4 존치부지
하천 47,301 1.5 금곡천, 호매실천
학교 144,778 4.6  
공공청사 6,954 0.2 동사무소, 순찰지구대
소방파출소, 우체국
사회복지시설 3,726 0.1 노인요양시설
문화복지시설 18,275 0.6 문화예술회관, 여성발전회관,
종합사회복지관
의료시설 39,796 1.3 종합병원
운동시설 - -  
종교시설 17,710 0.6  
주유소 3,540 0.1  
전기 및 열공급설비 20,213 0.7 CES
유보지 70,813 2.3  
토지이용계획도
인구 및 주택
기본방향
수원호매실지구는 국민임대주택건설을 위한 택지개발사업지구로서 다양한 소득계층과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유형 및 규모로 설정하였습니다.
GB해제지역으로 양호한 자연환경을 나타내고 있어 기존의 택지개발사업지구보다 낮은 밀도의 자연친화적 저밀단지로 개발하여 국민임대주택단지개발계획수립지침 및 택지개발계획업무처리지침 등 상위관련기준에 부합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인구배분계획
총밀도 180인/ha이하, 평균용적률 180%, 평균층수 15층 이하의 중밀도 공동주택 위주의 인구주택계획 수립하여 가구당 인구는 수원도시기본계획 2010년 계획지표인 2.9인/호를 적용하여 계획인구 55,796인 산출하였습니다.
구분 면적(㎡) 구성비(%) 수용호수(호) 수용인구(인)
1,098,187 100 19,240 55,796
단독주택 65,137 5.9 205 595
공동주택 1,033,050 94.1 19,035 55,201
주택건설계획
본 사업지구의 주택유형은 수원권의 부족한 주택공급을 위하여 조성하는 택지지구임을 고려하여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계획하고, 연립 및 다세대주택용지는 배치하지 않았습니다.
단독 : 아파트 = 20%이하 : 80%이상 ⇒ 5.9% : 94.1%
공동주택용지의 규모별 배분 (세대수기준)
60㎡이하 : 60 ̄85㎡ : 85㎡초과 ⇒ 29.1% : 36.2% : 34.7%
규모별 계획도
교통
기본방향
사업지구 동측의 국도42호선, 서부우회도로, 남측의 국도43호선, 지구내부를 관통하는 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를 사업지구 주변 광역가로망과 연계한 가로망체계 구축
Loop+격자형 가로망체계 구축
하천과 녹지공간, 시가지를 연결하는 보행 Network와 자전거도로 계획
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를 이용하는 통과교통과 내부교통체계를 분리하고 보행자중심의 녹색교통 계획
도로계획
광역가로망
사업지구 내ㆍ외부의 광역교통과 연계하는 가로망계획 수립
지구내 호매실 I.C를 이용하는 통과교통의 지구내 진출입을 최소화 하는 가로망계획 수립
내부가로망
간선도로
기존의 중로1-42, 1-46, 1-66호선을 확장(25~37m)하여 지구내 주간선도로로 계획
기계획된 대로3-18호선, 3-40호선을 신설하여 광역도로 접근성 제고 및 기존 도심으로 연계
보조간선도로
간선도로를 연계하는 폭21~27m의 루프형ㆍ격자형 도로계획
금곡지구 및 LG빌리지와 사업지구간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가로망 계획 수립
집·분산도로 및 국지도로
생활권 단위로 발생하는 교통을 보조간선도로에 연결하기 위한 폭15~18m의 집분산도로 계획
단독주택 및 근린생활용지의 가구 및 획지계획에 따라 10~12m의 국지도로 계획
보행로 및 자전거도로
공원ㆍ녹지ㆍ하천 등 수변녹지공간을 연속된 보행공간으로 조성하고 학교 등 공공편익시설과 연결하여 통근, 통학, 산책, 구매 등 시민의 일상생활을 집중시켜 사회적 통합 유도
하천, 공원과 25m이상 도로의 완충녹지 등의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자전거네트워크 계획
광역교통체계 개선도
구분 노선명 사업개요 완공년도
연장(km) 차로수
도로 1 사업지~구운사거리간
도로개설
1.7 4 2015
2 대로3-18호선 도로개설 3.5 6 2012
3 칠보중학교~42번국도
연결도로 확장
1.5 2 2012
4 과천~봉담간
고속도로 확장
2 4→6 2013
접속 5 사업지~구운사거리간
서부우회도로 교차로
1식 2012
6 서부우회도로~
호매실I.C간
서부우회도로 교차로
1식 2009
철도 7 신분당선 연장
정자~광교~
화서~호매실
22.7 - -
광역교통 개선방안도
교통시설 계획도
공원ㆍ녹지
기본방향
수원시 도시녹화기본계획 등 상위관련계획과 부합하는 공원ㆍ녹지계획 수립하였습니다.
과천~봉담간 고속화도로변에는 장래 도로확장과 소음영향 저감, 도시경관 등을 고려하여 폭70m의 근린공원으로 계획하여 25m이상 도로변에 접하는 시설의 소음 및 공해를 완화하기 위한 폭10~15m의 완충녹지대 설치하였습니다.
수원시 광역녹지축(칠보산~황구지천)과 단지내 녹지축을 연계하는 공원ㆍ녹지계획 수립하여 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 휴양 및 정서생활 함양 이외에 다목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주제공원의 체계적 배치하였습니다.
저수지와 소하천, 저류지 등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한 친수공간계획과 생태하천 조성을 통해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였습니다.
녹지계획
폭 25m이상 도로변에 접하는 주택용지, 교육시설에 소음 및 대기오염 완화를 위하여 폭10~15m 완충녹지 설치하여 완충녹지내에 자전거전용도로를 설치하여 토지의 입체활용을 도모하였습니다.
근린공원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지구경계부의 산림지역은 자연환경의 보전과 법면발생부분의 개선을 통한 도시경관 향상을 위해 경관녹지로 보전하고 사업지구 서측 단독주택용지에 녹지축 연결과 보행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연결녹지로 계획하였습니다.
공원·녹지 계획도
  • 공급편익시설
  • 공급처리시설
  • 에너지
공공편익시설
기본방향
시민의 생활편익을 도모하기 위한 공공시설의 확충하였습니다.
교육, 상업, 문화 등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시설로서 주민의 편익증대를 위한 각종시설을 계획하였습니다.
생활권 및 이용규모를 고려한 합리적인 시설배치계획 수립하였습니다.
서수원권 중심거점기능 수행을 위한 광역시설 입지고려하여 LG빌리지, 금곡지 등 인접지역의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합리적 시설배치 계획 수립하고 기존 학교시설의 배치와 통학권 등을 고려하여 시설배치하였습니다.
공공시설 계획도
공급처리시설
상수도계획 기본방향
본 사업지구의 상수도 공급은 수원시 광역상수도 5단계 계통의 율전배수지(V=35,000㎥/일)에서 용수를 배분받아 호매실 북부지역(가칭)은 성균관대 격점 근처 배수본관 D800mm에서 D700mm로 분기하고, 호매실 남부지역(가칭)은 북부지역분기점 하류부 배수본관 D500mm에서 D400mm로 분기하며, 두암골길에 매설된 기존 D500mm 관로로 비상 공급계통 수립하였습니다.
상수계통도
하수도계획 기본방향
수원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보고서(2006) 및 환경부제정 ⌈하수도시설기준(2005. 11)⌋을 기초로 종합적인 하수처리계획 수립하여 하수배제방식은 하수도시설의 유지관리 및 수질오염 방지를 위하여 자연유하식 우ㆍ오수분리 배제방식 채택하였습니다.
지구내 발생오수는 수원시와 협의하여 단지내 관로를 통하여 지구 남측으로 집수 황구지천 우안에 신설차집관로를 계획하여 서호천 합류부 기존차집관거에 연결하여 수원하수종말처리장 (Q=520,000㎥/일)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며, 지구내 우수는 관로를 통해 저류시설을 경유하여 금곡천 및 호매실천을 지나 황구지천으로 유출합니다.
에너지
전력공급계획
합성최대수요전력은 94,254 kW로 예측됩니다.
본 사업지구의 전력공급은 지구내 전기 및 열공급설비(CES)에서 공급할 계획입니다.
도시가스공급계획
(주)삼천리에서 공급예정이며, 본 사업지구는 지구내 전기 및 열공급설비(CES)에서 지역난방으로 공급 계획입니다.
집단에너지공급기본계획에 의거 지역난방 공급대상에서 제외되는 단독주택, 학교, 종교시설 등에 대한 개별난방수요와 취사용 도시가스 수요를 예측합니다.
도시가스수요량은 총 9,552toe/년이며 개별난방용이 4,082toe/년, 취사용이 5,470toe/년으로 산정됩니다.
집단에너지공급의 타당성 검토
본 사업지구 지역난방열 수요량은 266,471Gcal/년이고 최대열부하는 215.7Gcal/hr입니다.
지구내 (주)휴세스의 전기 및 열공급설비(CES)에서 지역난방열을 공급 받습니다.
구역형 집단에너지 도입기준 검토
본 사업지구는 집단에너지 공급타당성이 있으며 본 사업지구의 CES(구역형 집단에너지) 사업자인 (주)휴세스의 전기 및 열공급설비(CES)에서 공급합니다.
구분 도입기준 사업지구 검토결과
최대열부하(Gcal/hr) 30이상 215.7 적합
열사용량(Gcal/년) 60,000이상 266,471 적합
열밀도(Gcal/㎢hr) 30이상 67.4 적합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