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쯤 마음에 두었던 도시, 자연이 완성해가는 산소 도시
수원시 스마트시티입니다.

수질성분 정의

수질성분 정의
PH 용액의 산성,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척도. 수용액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의 그램이온(수소이온농도)은 1보다 훨씬 작은 수인 경우가 많으므로 수소 이온 농도의 역수에 대한 상용로그를 수소이온 지수로 나타내 사용한다. 이것이 pH다. pH는 0에서 14까지 있으며, 용액이 산성이면 pH는 7보다 작고, 알칼리성이면 7보다 크다. 산성비는 pH 5.6이하의 비를 말한다.
BO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통상 BOD(Biological Oxygen Demand)라고 부른다. 물의 유기오염 지표의 한가지로서 어떤 물속의 미생물이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즉, 어느정도 오염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호기성(산소를 필요로 하는)박테리아가 일정 시간내 (보통 20도씨에서 5일간)에 물속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ppm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이 오염되어 있으며 유기물이 많게 되고 따라서 유기물을 박테리아가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산소의 양도 증가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오염된 물 속에서 산소가 결핍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는 것이다. 1ℓ의 물속에 1mg(1,000분의 1g)의 산소가 필요할때를 1ppm이라고 한다. 음료수는 2ppm이하가 적당하고, 농업용수는 5ppm이 좋다. 5ppm이상이 되면 하천은 자기정화 능력을 잃으며, 10ppm을 넘을 때는 나쁜 냄새를 풍기며 시궁창 하천이 된다.
COD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과 마찬가지로 하천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물속의 유기물 등 오염이 되는 물질을 산화제로 산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말한다. 산화제로는 과망간산칼리나 중크롬산칼리가 사용된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수치가 크게 되면 유기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만큼 오염이 심하게 됐음을 나타낸다. 검사가 단시간에 가능하므로 오염의 개략치를 추정하는데 많이 쓰인다.
SS SS(suspend solid )부유물질량
100만분의 1(parts per million)을 나타내는 농도의 단위이다. 물오염의 경우 lℓ의 물속에 오염물질이 1㎎이 존재할 경우 농도가 1ppm이 된다. 또한 대기오염에서는 1,000ℓ의 대기중 오염물질이 1㏄ 존재할 때 오염농도가 1ppm이 된다.
DO Dissolved Oxygen
용존산소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지표항목중의 하나로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농도이다. 단위는 mg/ℓ 또는 ppm으로 나타낸다.
T-P 총인(Total Phosphorus)
하천, 호소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수중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말한다.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T-N 총질소(Total Nitrogen)
(1) 무기성 질소 및 유기성 질소의 질소량의 합계를 말한다. 전자는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등을 가르킨다.
(2)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물속의 포함된 질소의 총량을 말하며, 인구의 집중도가 큰 지역의 하천, 호소에 많다.
위로 이동